1. 만일 책을 되팔 생각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책에 줄을 긋고 별표도 하고 메모도 하면서 최대한 지저분하게 읽는 것이 좋아요.
책 자체는 소중하게 대하되, 독서를 할 때 항상 펜을 이용해 메모하는 습관을 가짐으로써 독서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거죠.
독서 시 줄긋기 및 메모를 하면, 다음 번에 또 읽거나 일부 문구를 참고할 때 아주 많은 도움이 되거든요. 사실 한 번 읽고 다 기억나는 책은 없잖아요.
2. 자신의 독서 속도를 가늠해보시는 것이 좋아요. 책을 읽으면서 1시간에 몇 쪽이나 읽을 수 있는가를 측정해보는 거죠.
물론 소설, 시집 등 문학 서적을 읽을 때에는 일부러 시간까지 계산하면서 쫓기듯이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자기계발 등 생산적인 목적으로 행하는 독서의 경우 ROI(Return On Investment)가 중요합니다.

또한 책의 판형, 글꼴 크기, 편집 형태 등을 보면 대충 얼마 정도의 독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죠.
이것이 얼마나 중요한가요? 시간은 귀한 것이니까요.
사람마다 독서 속도가 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만의 독서 속도”를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독서 많이 하셔서, 책의 신으로부터 축복받으세요~
PS: 저는 왠지 책의 신이 있는 거 같아요. 그렇지 않다면 독서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이 그렇게 엄청날 수는 없으니까요. 제가 책을 좋아해서 읽지 않았다면 지금 어떤 사람이 되었을지? 와우, 정말 책에 언제나 감사해요. ^^
댓글 10개:
엉뚱한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책을 읽으실때, 대체로 몇 번 정도를 읽으시나요?
저는 읽는 습관이 잘못됬는지, 아니면 머리가 나쁜건지^^ 3번 정도 읽어야 기억에 남는 구절이 생기고, 책 지식을 활용할 수 있더라구요.
To 신정훈님/ 그리 엉뚱한 질문은 아니네요.
보통 1번 읽고요. 아주 좋아하는 책은 2번 정도 읽습니다. 더 읽고 싶어도 너무 읽을 책들이 쌓여서 그럴 수가 없죠.
그런데 저도 정훈님과 마찬가지로 1번 읽고서는 기억이 잘 안납니다. 저도 마찬가지에요.
그래서 글 긋고 별표를 하고 메모를 하죠. 책 내용을 찾아봐야 할 때 그것만 보면, 머리에서 아득한 기억들이 조금씩 살아나서 나름 스토리가 잡히더라고요.
사실 별표된 것만 보면 책 내용을 다 알 수 있게 되어 있어요. 그만큼 제게 있어, 독서 시의 별표 표기는 아주 중요한 행위입니다. 그래서 펜이 없으면 아예 책을 보지 않을 정도랍니다.
항상 좋은 글 잘 읽고 있습니다. ^^
펜으로 별표도 하고 메모도 하면서 독서를 하신다고 하셨는데, 실제로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표시가 되어 있는 책이나 메모등을 사진으로 올려주셔서 실제로 이용하시는 노하우를 공유해주세요~
저는 책을 하나 읽으면 그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읽을 때까지 계속 들고 다니면서 읽는 버릇이 있어요.
그 내용이 궁금해서이기도 하지만, 한 번 책을 펼쳐든 이상 , 그 책에 대한 의리를 지켜야 한다는...생각에서죠.^^
저같은 경우엔 책을 여러번 읽는 스타일입니다. 심한경우엔 7-8번까지도.
기억력이 나쁜탓도 있지만, ^^:
한권의 책을 한큐에 다 읽는게 힘든이상
며칠, 몇주에 나눠서 읽으면 사람인 이상 그앞의 내용의 디테일들은 잊게 되지요. 책이란 때론 여러가지 디테일들이
모여서 한가지 큰 줄기를 타기때문에
책을 여러번읽음으로써 그 자잘한 디테일을 다 일일히 기억하면 처음 읽었을때 보다 좀더 책의 흐름이 잘 파악된다고 해야 할까요? 설명하기가
좀 힘드네요. -_-;
숲의 지리를 속속들이 다 알고 나면
그냥 지나쳐보던 숲도 좀더 다르게
풍성하게 보인다고 하면 대강 설명이
될른지.
그리고 전 책을 주로 새로운 정보습득이라는 관념보단, 즐기는 관념으로 읽기에 천천히 여러번 즐깁니다.
아 빼먹은 말이 있어서,
항상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한석님.
^^;
책을 읽는것에도 ROI 를 생각하기시에
성공적인 커리어를 유지하실수있는
게 아닐까 합니다.
전 책을 즐기지만, 위에 적은 이유로
독서량 자체가 방대하지가 못해서요,
최근엔 로마인이야기를 뒤늦게 접해서
심독중....
이번 주말에는 어떤책을 읽으셨나요?
전 책을 끝까지 못보는 경향이 많아서요;;
인내심 부족일까요..
To 꿀잠님/ 책을 스캔해서 올려야 하는데, 저작권 문제가 있을 듯.
그리고 대단한 거 없어요. ^^ 그냥 인상적인 부분은 줄 긋고, 더 인상적인 부분은 줄 긋기 + 별표를 하는거죠. 별표 크기에 따라 중요도가 정해지고요. 메모는 해당 문구에 대한 저의 생각, 향후 활용 방법 등을 적어 놓는 거구요.
제가 나중에 스캐닝해서 소개 한번 할께요. 좀 창피하기는 하지만요.
To 눈꽃님/ 저와 생각이 비슷한 분이시네요. 그렇죠, 의리를 지켜야죠. ^^
To danny님/ 제가 아는 그 대니 같은데, 앞으로 정치적인 감사의 글은 빼세요. ^^
그런데 그렇게 많이 읽으면 나머지 책들 읽을 시간이 없잖아요? 다독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독서 시간의 한계도 생각을 하셔야..
To siso님/ 최근에 차세대 미디어에 대해 연구 중이라서, "블로그 마케팅 (식스 어파트 저)"이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
다들 열심히 책을 읽는것 같네요..
전 책을 주로 출.퇴근 시 지하철 안에서 보기 때문에 메모하면서 읽기가 잘 안되는 것 같아요.
책을 읽는 방법도 중요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맞는 책을 찾는 것 같습니다.
저두 자주 고민하는 부분이지만 그게 쉽지가 안더라구요. 그래서 주로 웹사이트에서 베스트셀러 부분을 보고 책을 선택하게 됩니다.
날씨 추운데 감기 조심들 하세요..
와우~~ 자신의 독서 능력을 파악하는 것 중요하겠네요. 저도 언넝 측정해 봐야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댓글을 환영합니다.
스팸으로 인해 모든 댓글은 운영자의 승인 후 등록됩니다. 스팸, 욕설은 등록이 거부됩니다. 구글의 블로그 시스템은 트랙백을 지원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