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8월 26일

SI업계의 갑을병정, 그 죽음의 순환고리

한국 SI업계의 고질적인 하청 병폐들과 착취에 가까운 근무 형태는 이미 오랜 전부터 그 악명이 자자합니다. 그런 관계로 관련 내용이 주기적으로 이슈가 되곤 합니다.

얼마 전 인터넷에서는 SI업계에서 ‘을’이 ‘병’에게 보낸 메일이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한번 읽어보세요. 글쓴이가 댓글에서 밝혔듯이, 갑은 고객사고 을은 빅3(삼성 SDS, LG CNS, SK C&C) 중 3위 업체인 S*입니다. 여러 댓글 중에, 월화수목금금금은 왠지 쉴 거 같은 느낌이 있으니 월화수목월월월로 표현하자는 글이 눈에 띄네요.

개발자가 과도한 야근으로 인해 건강을 해친 사례는 정말 많습니다.

관련 글: 초과근무(야근, 휴일근무)의 폐해

한국이 소프트웨어 산업에서 경쟁력이 없다는 건, 우리 업계 사람들이라면 익히 잘 알고 있는 사실이었지만 일반인들은 IT 강국이라는 판타지로 인해 그다지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스마트폰 붐이 일면서 “왜 우리는 이런 거 못 만드냐?”라며, 소프트웨어 경쟁력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죠.

그래서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소프트웨어 경쟁력, 그 중에서도 특히 애플리케이션보다는 플랫폼, 솔루션 등 시장을 창출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경쟁력이 없다는 사실을 잘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한국이 소프트웨어 경쟁력이 없는 이유에는 사실 기술적인 요인보다는 문화적인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상명하복식의 조직 문화, 빨리빨리 문화, 맨땅에 헤딩하기 문화 등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특성이 소프트웨어 산업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겁니다.

그러니 오랜 시간 동안 연구개발 및 투자를 해야 하고 창의적인 근무 환경이 요구되는 성격의 소프트웨어들은 우리 사회의 특성상 거의 개발이 불가능했던 것이죠. 이건 개별 기업의 경쟁력 문제라기 보다는, 또한 소프트웨어 산업만의 문제라기 보다는, 우리 사회의 많은 분야에서 지식 근로자들이 처한 현실적 한계입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은 완전히 ‘멘탈(mental) 작업’이 아닙니까? 그러다 보니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우리 사회의 조직 문화와는 맞지가 않았던 겁니다.

어쨌든 시장의 한계, 문화적 한계로 인해 한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SI업이 위주가 되어 버렸는데.. 그렇듯 가뜩이나 일반적인 조직 문화도 소프트웨어 개발과 맞지가 않는데, 거기에다 경쟁력도 없는 대기업 계열 SI업체들이 SI업을 지배하고 있으면서 중소기업들을 쥐어짜고 있으니 한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이중삼중으로 고통을 받을 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제가 2007년 ZDNET에 SI업계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3년이나 세월이 흘렀지만 별반 나아진 게 없네요. 제가 주장한 내용은 좀 급진적이지만 지금도 유효하니 한번 보세요.

IT 업계 빅3의 빛과 그림자

글 말미에 “어떤 혁신적인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한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점점 더 산송장이 되어갈 것이다.”라는 표현을 썼는데 지난 3년 동안 계속 산송장화(영어로 좀비화)가 진행되었던 거 같습니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등에 대한 관심이 폭발하면서 관련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콘테스트가 많이 열렸던 시절은 PC 초창기 말고는 없었죠.

앱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빨리 만들 수 있어서 인프라, 플랫폼, 솔루션 등의 분야에 비해서는 개발이 많이 수월한 편입니다. 우리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입니다. 그런데 그것만으로는 소프트웨어 산업이 발전하기 힘듭니다. 기초도 필요하고 응용도 필요하고, 즉 다양성이 필요합니다. 좀 더 밑바닥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경쟁력이 있어야 합니다. (하단 그림 참고: 클릭하면 확대됨)


위 그림에 대한 오해가 없도록 부연하자면, 그나마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는 경쟁을 할만한 여지가 있지만 그 외에는 경쟁력 자체를 따질 수조차 없다는 뜻입니다. 그간의 성공사례도 없고요. 그리고 앞으로도 성공사례가 나오기 힘든데, 그 이유에는 개별 기업의 경쟁력 부족 탓도 있겠습니다만 보다 근본적으로 업계의 구조적 문제가 작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특히 현재와 같이 개발자들이 착취 내지는 학대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는 기존 인력이 고급 기술자로 성장하기도 힘들뿐만 아니라 신규 인력의 유입에도 아주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미 개발자라는 게 상당한 기피 직종이 되어 버렸으니까요.

힘 없는 제가 지속적으로 이런 이슈를 제기한다고 해서 크게 달라질 게 없고 또 달라진 바도 없습니다만, 공감대라도 형성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SI업계의 갑을병정 관행이 개선된다고 해서 한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이 발전한다는 보장은 없겠습니다만.. 아무리 양보해도, 최소한, 중소업체에서 일하는 개발자들이 인간적으로 피해를 보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을 위해서 우리는 현실적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무엇보다도 1차적으로 개발자들이 각성해야 합니다. 사회의 보호 장치가 없으니 스스로 공부하고 똑똑해지고 챙겨야 합니다. 그리고 성공사례, 실패사례를 널리 공유하여 기업들이 적어도 대놓고 나쁜 짓 못하게 해야 합니다.

각성하고 행동하는 개발자들이 늘어나길 바랍니다. 빨간약을 선택하세요!

댓글 3개:

black_H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초보 개발자 입니다만 개발자들이 좀더 좋은 환경에서 일하기를 바랄 뿐입니다.
한가지 안타까운 점은 개발자들의 환경이 너무 열악한 나머지 뭉치지 조차 못한다는 것이죠.

Playing :

안녕하세요 ~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얼마전에 'SLACK' 을 읽었는데..(정말 잘 읽었습니다) 씁쓸하네요
확실히 국내 기업문화 중에서 제대로 된 곳이 많지 않은 거 같아요

IT 업종은 제 전공이 아니라서 모르겠지만 다른 공과 계열이나 이과 연구 계열중에서 "월화수목월월월.."을 벗어나는 곳은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트정 '연구'를 하는 기반이 전혀 '지식근로자'에게 맞지 않다는 거죠

"서울대 - 미국 박사학위 - 국내 안전빵 정교수"
또 뭐가 있을까요?
아무튼 위 사례도 피할 수 없을만큼 연구 업종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이 시간에 쫓기고 있습니다(장난 아닙니다 ㅡ _ㅡ;;) 연구비 얻을라면 당장 성과를 내야하거든요..
주식 떨어지는 거 막을려면 성과를 내야하는 것과 같을까요?

우리 나라가 정말 한 발 앞으로 나아갈려면 사람이 최소한 사람답게 살수 있는 여건이 먼저 만들어지고, 그 상황에서 회사가 옳은 방향을 잡고 '혁신'되는 게 다음이라고 생각되네요.. 일차적인 게 해결되지 않는 한 뒤로 갈 꺼 같아요

Unknown :

현재 개발팀 팀장으로 일하는사람으로서 류한석님과 뜻을 갖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을 바꾸는게 쉽지는 않네요. 그래도 우리팀 부터라도 문화를 바꾸기 위해 쏟아지는 칼바람을 견디고 있습니다. 조금씩 바꾸면 언젠가는 개발자도 선호직종이 되겠지요.. 앞으로도 많은 계몽활동 부탁드립니다.

댓글 쓰기

댓글을 환영합니다.

스팸으로 인해 모든 댓글은 운영자의 승인 후 등록됩니다. 스팸, 욕설은 등록이 거부됩니다. 구글의 블로그 시스템은 트랙백을 지원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