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삶의 여정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삶의 여정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3월 9일

씹히는 것도 삶의 일부

아는 분이 알려주셔서 제 블로그와 저에 대해 쓰여진 포스트를 봤습니다. 세상을 살다 보면 칭찬을 들을 수도 있고 씹힐 수도 있죠. 그것이 삶이고 일상인 거 같네요. 위의 글을 보고서 든 생각이 있어 그냥 편하게 남겨 봅니다.

1. 저는 주로 마이크로소프트 기술 전문가였습니다. 1997년에 월간 마소지에 “류한석의 비주얼베이직 Q/A”를 매월 연재했는데, 개인적으로 8비트 시절부터 베이직을 좋아했기 때문에 비주얼베이직도 좋아했죠. 또한 그 당시는 자바가 막 보급되는 초창기였는데, 여러 기업의 요청을 받아 자바 강의를 하던 시기이기도 했죠. 프로젝트는 비주얼 C++로 했고요. 그렇게 비주얼베이직, 비주얼C++, 자바를 섞어 쓰다가 모은행 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 마이크로소프트 기술 기반의 IT 컨설팅 일을 하면서, 이후에는 마이크로소프트 기술을 주로 사용하게 됐습니다.

하지만 작년 1월에 회사를 옮긴 이후에는 주로 비즈니스 쪽 일을 하면서 기술 전략을 고민하고 있고, 비즈니스와 기술의 가교 역할을 하려고 노력 중이죠. 그런 역할을 누군가는 해야 하고, 개발자 출신인 제가 하는 것이 기술의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받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고요. 그렇지만 기술은 중립적입니다. 어딘가에는 좋은 기술이 어딘가에는 나쁜 기술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기술에 중립적이려고 합니다만, 개인적인 경험과 취향에 영향을 받을 때가 있죠. 저도 인간이니까.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직원들과 친해서 도와드리려는 마음도 있고요. 최근에는 인터넷 쪽 일을 하면서 오픈소스 쪽 분들과도 친하게 지내고 있으니, 곧 좀 더 나은 균형감각을 갖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더 많은 공부를 해야 하겠지만요. ^^

2. 개똥철학, 참 중요합니다. 성공을 꿈꾸는 사람이라면(그 성공의 기준이 무엇이든), 철학이 있어야 원칙을 지키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갈 수가 있다고 생각해요. 남들한테 내보일만한 수준이 못되고 그저 개인적인 것에 그치더라도, 철학이 있어야 합니다.

저의 경우 아직 설익고 여전히 삶에 대해 공부하는 사람이니까 개똥철학이 맞죠. 이렇게 생각하니까 더 마음이 편해요. 블로그 독자분들도 부담 없이 생각하실테고요. ^^

하지만 저는 왜 살고, 무엇을 위해 살고, 어디를 향해 가고 있고, 무엇이 되고 싶은지 알고 있습니다. 그것을 아는 데까지 10년 이상의 오랜 사회생활이 필요했고 엄청난 시행착오를 했거든요. 그래서 저는 남들이 뭐라고 얘기하든, 저의 개똥철학이 소중합니다.

모든 삶의 여정을 통해 배우고 변화하는 것.
그리고 자신만의 인생관/세계관을 가지는 것.
결국 자신이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는 것.


경험하는 모든 것에서 배우고 발전해나간다면 어찌 끝이 안 좋을 수 있겠습니까?

하단의 그림처럼 되어서는 안되잖아요. ^^


저는 50대가 되면 지금보다 100백 이상 큰 사람이 되어 있을 예정입니다. (50대가 되어서 이 글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들까요? 훗)

그래서 저는 예전에 밝혔다시피, 빨리 50세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고요.

그러니 그때까지 편견없이 배우고 또 배워야죠(스폰지처럼). 제게는 그것이 너무나 기쁜 일입니다.

여러분도 그런 기쁨을 맛보시길 바랄께요. ^^